>>> 2+2
4
>>> 50 - 5*6
20
>>> (50 - 5*6) / 4
5.0
>>> 8 / 5
1.6
>>>
입력과 출력은 프롬프트(>>> 와 ...)의 존재 여부로 구분된다.
프롬프트로 시작하지 않는 줄은 인터프리터가 출력하는 것이다.
파이썬에서 주석은 해시 문자 # 으로 시작하고 줄의 끝까지 이어집니다.
주석은 출의 처음부터 시작할 수 있고, 공백이나 코드 뒤에 나올 수도 있다.
하지만 문자열 리터럴 안에는 들어갈 수 없습니다.
문자열 리터럴 안에 있는 해시 문자는 주석이 아니라 해시 문자일 뿐입니다.
파이썬 주석
3.1 파이썬을 계산기로 사용하기
3.1.1 숫자
인터프리터는 간단한 계산기로 가능합니다. 표현식을 입력하면 값을 출력합니다.
표현식 문법은 간단하며, + , - , * , / 연산자는 대부분 다른 언어들처럼 동작합니다.
괄호 () 는 묶는 데 사용합니다.
>>> 2+2
4
>>> 50 - 5*6
20
>>> (50 - 5*6) / 4
5.0
>>> 8 / 5
1.6
>>>
정수는 (2, 4, 20)는 int 형입니다. 소수부가 있는 것들( 5.0, 1.6) 은 float 형입니다.
나눗셈은 항상 float형으로 반환합니다.
나눗셈에서 몫을 구하려면 // 을 나머지를 구하려면 % 를 이용한다
>>> 17 / 3 # float 으로 return
5.666666666666667
>>> 17 // 3 # 몫을 구한다
5
>>> 17 % 3 # 나머지를 구한다
2
>>>
거듭제곱을 계산할 때 ** 연산자를 사용한다.
>>> 5 ** 2 # 5 squared
25
>>> 2 ** 7 # 2 to the power of 7
128
변수의 갑을 대입할 때는 등호( = )를 사용한다. 이때 프롬프트에 표시되는 출력은 없습니다.
>>> width = 20
>>> height = 5 * 9
>>> width * height
900
변수가 정의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하려고 시도하면 에러가 발생됩니다.
>>> hello
Traceback (most recent call last):
File "<stdin>", line 1, in <module>
NameError: name 'hello' is not defined. Did you mean: 'help'?
>>>
서로 다른 형의 피연산자를 갖는 연산자는 정수 피연산자를 실수로 변환합니다.
>>> 4 * 3.75 - 1
14.0
대화형 모드에서는, 마지막에 인쇄된 표현식은 변수 _ 에 대입됩니다.
>>> tax = 12.5 / 100
>>> price = 100.50
>>> price * tax
12.5625
>>> price + _
113.0625
>>> round(_, 2)
113.06
>>>
이 변수( _ )는 사용자로서는 읽기만 가능한 것 처럼 취급되어야 합니다.
값을 직접 대입하지 마세요. 만약 그렇게 한다면 같은 이름의 지역 변수를 새로 만드는 것이 되는데,
내장 변수의 동작을 차단하는 결과를 낳습니다.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 자습서] 2. 파이썬 인터프리터 사용하기 (1) | 2024.03.06 |
---|---|
[파이썬 자습서] 1. 입맛 돋우기 (0) | 2024.03.06 |
[python] 프로그래밍 언어 파이썬과 몬티 파이썬의 관계 (0) | 2024.03.06 |